숫자 너머 21

한국, 어디로 가야 하나 : 희토류 시장의 지각변동 속에서

중국 독점이 흔들린다: 희토류 공급망에 생긴 균열 이 포스팅에서는 최근 변화하는 세계 희토류 시장과 한국이 취해야 할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스마트폰부터 전기차까지 현대 기술의 핵심 원료인 희토류의 공급망이 어떻게 재편되고 있는지 쉽게 풀어보았어요.1. 중국의 희토류 독점 약화 현상 첫 번째 그래프는 1994년부터 2024년까지 세계 희토류 채굴 생산량을 보여주고 있어요. 이 자료를 보면 중국의 희토류 시장 장악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1994년부터 2010년까지는 중국이 세계 희토류 생산을 거의 혼자서 담당했어요. 연간 약 10만 톤의 생산량 중 대부분을 중국이 차지했고, 다른 나라들은 거의 생산하지 못했죠. 중국이 희토류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었던 시기였..

숫자 너머 2025.04.15

Re-Vinyled : 돌아온 것이 아니라 달라진 것이다

바이닐 레코드가 요즘 다시 뜨고 있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옛날 방식으로 돌아간 건지, 아니면 완전히 새로운 트렌드인지 함께 알아보려고 해요. 여러 통계 자료를 보면서 현대 음악 소비 문화의 변화를 살펴볼게요.1. 컴백인가, 회고인가? 첫번째 그래프는 미국의 바이닐 판매량 추이를 보여주고 있어요. 2024년 미국에서는 4,360만 장의 바이닐 레코드가 팔렸대요. 2006년에 100만 장도 안 팔렸던 걸 생각하면 정말 대단한 성장이죠. 18년 연속 성장이라니, 디지털 시대에 놀라운 기록이에요. 하지만 1970년대와 비교해보면 이야기가 좀 달라져요. 그때는 매년 3억 장 이상이 팔리던 시절이었거든요. 그렇게 보면 지금의 4,360만 장은 그 시절의 15% 정도..

숫자 너머 2025.04.13

AI 시대, 데이터센터가 바꾸는 에너지 지형도

최근에 뭔가 눈에 띄는 기사를 봤어요.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데이터센터가 전기를 엄청나게 쓴다는 내용이었는데, 그 규모가 상상 이상이더라고요. 오늘은 세 개의 그래프를 보면서 AI 기술과 데이터센터가 지구 에너지 지도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함께 알아볼게요.1.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 이미 국가급 첫번째 그래프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을 국가들과 비교해 놓은 건데요, 솔직히 이거 보고 좀 놀랐어요. 2022년에 전 세계 데이터센터들이 약 415TWh의 전기를 썼대요. 이게 얼마나 많은 양이냐면, 프랑스 전체가 1년에 쓰는 전기량(426TWh)과 거의 비슷하고, 영국(287TWh)보다 훨씬 많은 양이에요. 진짜 무서운 건 앞으로의 전망이에요. 2026년에는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량이 835TWh까지 ..

숫자 너머 2025.04.12

도시 지출은 늘었지만, 지갑은 왜 더 얇아졌을까?

오늘은 세계 도시들의 소비력과 실제 사람들이 느끼는 생활고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게요. 전 세계 통계 자료를 보면서 제가 발견한 재미있는 사실이 있어요. 바로 소비를 많이 하는 도시가 많은 나라일수록 사람들은 오히려 더 살기 힘들다고 느낀다는 점이에요. 이상하지 않나요?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해요.1. 도시 소비력의 정점은 어디인가요 첫번째 그래프는 2000년부터 2040년까지 세계에서 소비를 가장 많이 하는 도시들의 순위 변화를 보여줘요. 저는 처음 이 그래프를 봤을 때 정말 흥미로웠어요. 2000년에는 도쿄가 1위였는데, 2020년에는 뉴욕이 1위를 차지했고, 2040년에도 뉴욕이 계속 1등일 거래요. 가장 놀라운 건 미국 도시들이 정말 많이 순위에 올라와 있다는 거예요. 2020년에 보면 뉴욕, ..

숫자 너머 2025.04.11

클라우드 시장 3300억 달러 돌파, AI가 만든 구조적 변화?

1. AWS·Azure는 왜 여전히 앞서가나 클라우드 시장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이 글에서는 최근 클라우드 시장의 현황과 AI가 불러온 변화를 쉽게 풀어볼게요. 요즘 IT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는 AI와 클라우드의 결합이에요. 제가 지난 몇 년간 클라우드 시장을 지켜봤는데, 2024년에 예상 밖의 일이 일어났어요. 시장 성장이 둔화될 거라는 예측과 달리 오히려 더 빨라졌거든요. 솔직히 저도 처음에는 이 AI 붐이 일시적인 거품이 아닐까 생각했어요. 하지만 데이터를 직접 살펴보니 진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더라고요.Synergy Research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 변화가 어떤 의미인지 함께 알아봐요.2. 누가 클라우드 시장을 지배하고 있나요 첫번째 그래프는 2024년 클라우드 시장..

숫자 너머 2025.04.11

교토 벚꽃 개화일, 1200년 기록으로 본 기후변화 이야기

벚꽃이 점점 더 일찍 피고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저도 이번에 알게 된 사실인데, 교토에서는 무려 9세기부터 지금까지 벚꽃 개화일을 꾸준히 기록해왔더라고요. 우연히 접한 이 자료를 보고 흥미로워서 오늘은 벚꽃 데이터가 들려주는 기후변화 이야기를 풀어볼게요.1. 1200년 동안 기록된 벚꽃 자료의 비밀 어떻게 1200년 전 벚꽃이 언제 피었는지 알 수 있을까요? 일본 사람들은 벚꽃을 정말 소중히 여겨서 옛날 일기장이나 역사책에 꽃구경(하나미) 행사 날짜를 꼼꼼히 기록해뒀어요. 귀족들의 일기, 궁중 기록, 절의 역사서 등에서 오늘 벚꽃이 만개했다 같은 내용을 찾아 연결한 거죠. 오사카 부립대학의 아오노 교수님 팀이 이걸 모아서 하나의 데이터로 만들었어요.2. 그래프로 보는 벚꽃의 변화 그래프를 보면 ..

숫자 너머 2025.04.11

포장으로 본 두 나라의 마음: 일본과 한국 소비자의 문화 심리학

이웃나라 일본과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왜 이렇게 다른 선택을 할까요? 특히 친환경 제품과 포장에 대한 반응 차이가 흥미로워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해봤어요. 소비 트렌드에 관심 있는 분들, 마케팅이나 브랜드 일을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내용이에요.1. 친환경 소비, 정말 의식의 문제일까? 요즘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친환경 제품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정작 소비자들은 이런 제품을 잘 살까요? 의외로 한국과 일본은 이 부분에서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요. 일본 사람들은 포장이 예쁘고 정교해야 마음에 들어 하는 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가격이 적당하고 실용적인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아요. 이런 차이는 단순한 취향 문제가 아니라 각 나라의 문화와 경제 상황이 반영된 결과예요.2. 한국 소비자의 ..

숫자 너머 2025.04.10

인도네시아는 왜 친환경 포장에 돈을 더 쓸까요?

스타티스타가 최근 발표한 아시아 지역 친환경 포장 선호도 조사 결과가 흥미로워요. 특히 눈에 띄는 건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이 다른 나라보다 친환경 포장에 훨씬 더 관심이 많다는 점이에요. 왜 이런 차이가 생겼는지, 또 한국은 왜 이렇게 낮은 관심을 보이는지 함께 알아볼게요.1. 숫자로 보는 아시아의 친환경 포장 관심도 스타티스타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소비자의 42%가 식품을 고를 때 환경친화적 포장이 중요하다고 답했어요. 이건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치인데다, 전 세계 53개국 평균(22%)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에요. 그 다음으로는 인도(33%), 필리핀(32%), 베트남(31%)이 높은 관심을 보였고, 한국은 13%로 조사된 아시아 국가 중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어요. 왜 이런 차이..

숫자 너머 2025.04.10

AI 여행 계획, 단순 추천을 넘어 일정 설계까지

여행과 인공지능(AI). 한때는 어색했던 조합이지만, 이제는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어요. AI 챗봇, 자동 번역, 일정 추천부터 항공권 검색, 여행지 비교, 일정표 작성까지 다양한 여행 준비 과정이 AI 도구로 가능해졌어요. 이번 글에서는 최근 발표된 글로벌 통계 자료를 통해 여행자들의 AI 수용도, 여행 산업의 AI 활용 분야, 생성형 AI의 여행 계획 영향력을 분석해볼게요. 데이터를 바탕으로 여행과 AI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1. 여행자들의 AI 수용도: 생각보다 훨씬 높아요 SiteMinder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여행자들의 AI 사용 의향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어요: 인도네시아, 태국, 중국, 인도, 멕시코, 싱가포르 여행자들은 약 90% 이상이 AI 여..

숫자 너머 2025.04.07

20년 전 등장한 Gmail, 지금 미국 이메일 시장은 어떻게 바뀌었나?

디지털 통신의 역사에서 이메일은 가장 오래되고 견고한 플랫폼 중 하나예요. 2004년 Gmail 출시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 이메일 시장은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세대별 선호도, 실제 사용 패턴, 그리고 최신 시장 점유율까지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Gmail과 Yahoo Mail의 경쟁 과정을 살펴봤어요. 이 글에서는 2017년부터 2024년까지의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이메일 서비스의 변화 흐름과 그 의미를 분석하고, 한국 시장의 특수성까지 짚어볼게요.1. 세대별 이메일 선호도: 명확한 디지털 세대 차이 첫 번째 그래프는 2017년 Morning Consult가 실시한 조사를 바탕으로 연령대별 Gmail과 Yahoo Mail 사용 비율을 보여줘요. 가장 눈에 띄는 건 연령대에 따른 뚜렷한 선호도 차이..

숫자 너머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