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너머

글로벌 불안 지표 분석 : 돈 걱정 없는 나라가 있을까?

klikie 2025. 4. 15. 11:17

"나는 돈이 필요하다"라고 쓰여진 담벼락 낙서 그래피티. 도시 환경에서 나무 판자에 흰색 글씨로 "I NEED MONEY"라고 크게 적혀 있고 주변에 다른 그래피티가 함께 있다.

 

 

이 글은 전 세계 사람들의 재정 불안감을 알아보는 내용이에요. 돈 걱정은 우리만 하는 게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이 다 하고 있어요. 다만 나라마다 걱정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점이 흥미로웠어요. 저도 매달 통장 잔고를 보며 한숨 쉬곤 하는데, 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떨지 궁금했는데 이번에 좋은 데이터를 찾게 되었어요.

 

스타티스타라는 기관이 2024년에 전 세계 11개국 성인들에게 물어본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서, 우리나라 상황과 비교해보려고 해요. 제가 데이터를 보면서 느낀 점도 함께 나눠볼게요.


1. 누가 가장 걱정하는가?

스타티스타가 조사한 결과를 보니 재정 걱정은 어느 나라나 다 있지만, 그 정도가 나라마다 많이 달랐어요.

 

source Statista.com

 

1️⃣ 돈 걱정 많은 나라들

 

가장 돈 걱정이 많은 나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에요. 무려 41%의 사람들이 자신의 재정 미래가 걱정된다고 했어요. 그 다음으로는 캐나다(40%), 일본(39%), 멕시코(38%)가 있었어요.

 

남아공은 실업률이 높고 빈부 격차가 커서 그런 것 같아요. 캐나다는 집값과 생활비가 너무 비싸서, 일본은 경제가 오랫동안 안 좋고 노인이 많아져서 그런 것 같아요. 저도 일본 뉴스를 보면 청년들의 미래가 불안하다는 기사가 많이 보이더라고요.

 

2️⃣ 중간쯤 걱정하는 나라들

 

브라질과 미국은 똑같이 37%로 중간 정도였어요. 미국은 요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때문에 더 불안해진 것 같아요. 독일(35%)과 영국(34%)도 비슷한 수준이었고요.

 

이 나라들은 다 경제 강국인데도 국민들은 여전히 돈 걱정을 하고 있다는 게 신기했어요. 국가가 부자라고 해서 개인이 다 부자는 아니라는 말이 맞는 것 같아요.

 

3️⃣ 돈 걱정 적은 나라들

 

가장 돈 걱정이 적은 나라는 중국(13%)이었어요. 다른 나라들에 비해 정말 낮은 수치였죠. 인도(27%)와 프랑스(28%)도 비교적 낮은 편이었고요.

 

중국이 이렇게 낮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 같아요. 계속 경제가 성장하고 있어서일 수도 있고, 저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화 때문일 수도 있어요. 솔직히 저는 중국 수치가 이렇게 낮다는 게 좀 의외였어요. 인도도 경제가 성장하고 있어서 미래를 밝게 보는 것 같아요.


2. 우리나라는 어느 정도일까?

 

이번 조사에 한국은 포함되지 않았어요. 하지만 여러 경제 지표를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재정 불안감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어요.

 

1️⃣ 한국인의 돈 걱정 이유들

 

우리나라는 돈 걱정 요소가 정말 많아요:

 

  1. 높은 가계부채: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계속 높은 수준이에요. 특히 요즘 젊은 세대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과 빚투(빚내서 투자) 현상이 심각해요.
  2. 주거 불안정: 집값과 월세가 너무 비싸서 특히 서울 같은 대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정말 부담이 큰 것 같아요.
  3. 노후 걱정: 우리나라가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데 노후 보장 시스템은 아직 부족해요. 그래서 중장년층이 노후를 많이 걱정하고 있어요.
  4. 청년 실업: 청년들의 실업률이 높고 비정규직이 많아서 미래가 불안정해요.

 

이런 점들을 생각하면, 우리나라의 재정 불안감은 아마 조사된 나라들 중에서도 상위권일 것 같아요.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슬픈 기록도 우리 사회의 높은 스트레스와 불안을 보여주는 것 같아서 마음이 아프네요.

 

2️⃣ 세대별 돈 걱정

 

우리나라는 세대마다 돈 걱정의 모습이 달라요:

 

  • 2030세대: 취업, 집 구입, 결혼 같은 인생의 중요한 단계를 위한 비용 때문에 걱정이 많아요.
  • 4050세대: 아이들 교육비, 집 대출 갚기, 노후 준비까지 여러 부담이 한꺼번에 와서 샌드위치 세대라고 불리며 힘들어해요.
  • 60대 이상: 연금이 부족하고 의료비는 계속 늘어나서 노후 빈곤에 대한 두려움이 커요.

3. 국가별 특징과 돈 걱정의 관계

 

이번 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니 몇 가지 재미있는 패턴이 보였어요.

 

1️⃣ 국가 발전 정도와 돈 걱정

 

국가가 발전했다고 해서 돈 걱정이 적은 건 아니었어요. 선진국인 미국, 일본, 캐나다도 돈 걱정이 많았고, 신흥국인 남아공이나 브라질도 걱정이 많았어요. 반면 중국과 인도 같은 신흥국은 오히려 걱정이 적었어요.

 

이건 실제 경제 상황보다 미래에 대한 기대가 더 중요하다는 걸 보여주는 것 같아요. 중국과 인도는 아직 성장하고 있으니 미래가 더 좋아질 거라 기대하는 반면, 선진국들은 이미 성장이 정체되어서 더 나아질 거라는 기대가 적은 것 같아요.

 

2️⃣ 사회 안전망과 돈 걱정

 

사회 안전망이 잘 갖춰진 나라들, 특히 유럽 국가들은 돈 걱정이 좀 적은 편이었어요. 프랑스나 독일 같은 나라는 실업이나 질병, 노령 같은 상황에서도 기본적인 생활이 보장되니까 불안감이 덜한 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는 선진국이 됐지만 사회 안전망은 아직 부족한 편이에요. 이런 점이 우리의 돈 걱정을 더 키우는 것 같아요.


4. 돈 걱정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런 데이터를 보고 나니, 돈 걱정을 줄이기 위해 몇 가지 생각해볼 점이 있는 것 같아요.

 

1️⃣ 개인이 할 수 있는 것들

 

  • 재정 교육의 필요성: 우리 학교에서는 돈 관리하는 법을 잘 안 가르쳐주는 것 같아요. 저도 사회에 나와서야 돈 관리의 중요성을 깨달았어요.
  • 소비 습관 돌아보기: 우리가 정말 필요해서 돈을 쓰는 건지, 아니면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쓰는 건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요.
  •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 세상은 계속 변하니까, 우리도 그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해야 할 것 같아요.

 

2️⃣ 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할 것들

 

  • 주거 문제: 집이 투자 수단이 아니라 실제로 사는 곳이라는 인식이 필요해요.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이 더 강화되었으면 좋겠어요.
  • 일자리 문제: 불안정한 일자리가 많으니 미래가 불안한 거예요. 좀 더 안정적인 일자리 환경이 필요해요.
  • 사회 안전망: 아플 때, 실직했을 때, 나이 들었을 때 기본적인 생활이 보장되는 제도가 더 발전해야 해요.

 

빈 지갑을 들고 있는 사람의 손 클로즈업. 검은색 가죽 지갑을 열어 보이는 모습으로, 지갑 안이 비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금전적 어려움이나 재정 위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이미지입니다.


5. 희망을 찾아서

 

이번 조사 결과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각 나라 사람들의 마음속 불안을 보여주는 것 같아요. 우리 모두 공통된 걱정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위로가 되기도 해요.

 

한국은 조사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여러 지표를 보면 우리도 돈 걱정이 많은 편일 것 같아요. 하지만 이렇게 불안감이 높다는 건 그만큼 개선할 여지도 크다는 뜻이기도 해요.

 

돈 걱정 없는 삶은 단순히 돈을 많이 버는 것만으로는 어려워요. 개인이 돈을 잘 관리하는 법을 배우고, 사회는 좋은 안전망을 만들고, 우리 모두 물질적 성공 외에도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이 글에서 본 통계는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우리의 현실이에요. 이를 통해 우리 모두 더 나은 재정 미래를 위한 길을 찾았으면 좋겠어요.